티스토리 뷰
사람은 안 바뀐다. 바뀐 척을 할 뿐이다. 그런데 이 책을 읽고 나니까 바뀔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다. 인간관계론에 나온 타인을 변할 수 있게 하는 방법, 상대를 설득하는 방법을 소개하겠다.

인간관계론 타인을 변할 수 있게 하는 방법
1. 칭찬과 인정을 하라: 심리학자 프로이트는 인간이 어떤 행동을 하게 하는 욕구가 크게 두 가지라고 이야기한다. 첫 번째는 성적 충동, 두 번째는 위대한 사람이 되고 싶은 욕망이다. 즉, 다른 이에게 인정받고 싶어 하는 욕구이다. 칭찬과 인정을 하면 주변 사람이 달라지고 내 사람이 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미국의 전문 경영인 찰스 쇼브를 말한다. 회사의 CEO 인 그는 직원들을 전부 다 어벤저스로 만든다. 그래서 회사가 성장한다. 사람들이 찰스 쇼브에게 물어본다. 그 비결이 뭡니까? 챨스는 사람을 대하는 능력 하나로 높은 연봉을 받는다고 이야기한다. 부하 직원들한테 열의를 불러일으키는 능력이 최고의 자산이라고 말한다. 사람이 가지고 있는 최고의 능력을 끌어올리는 방법은 인정, 격려이다. 상관의 비판만큼 야망을 죽이는 건 없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상대방의 칭찬과 인정은 상대방을 뛰어난 인재로 만든다.
2. 비판하지말라: 에이브람 링컨 이야기를 예로 들겠다. 링컨은 타인을 비판하고 조롱하고 모욕하는 글을 자주 썼다. 그리고 신문사에 보내 공개적으로 망신을 줬다. 어느 날 링컨은 쉴스라는 사람을 조롱하고 비판하는 글을 썼다. 쉴스가 너무 화가 나서 링컨을 찾아가 결투를 신청했다. 이 당시 결투를 신청했는데 안 받으면 매장당하던 시절이었다. 링컨은 결투를 위해 칼싸움을 배웠다. 다행히 사람들이 말려서 결투를 하지 않았지만 링컨은 이때 깨달음이 컸다. 링컨 일생에 가장 큰 충격이었다. 상대방을 비판하고 비난하는 이유는 그렇게 살지 마 반성해라는 의미이다. 하지만 이것은 오히려 큰 일을 불러일으킨다. 그래서 다른 사람과 나한테 해가 될 수 있겠구나라는 깨달음을 얻고 그 이후론 다시는 상대를 비판하지 않게 되었다. 그런데 미국 대통령 자리가 끊임없이 상대를 질책하고 비판할 수밖에 없는 일들이 너무 많았다. 1860년대 벌어진 남북 전쟁 때 이야기를 한다. 링커는 북부군이었다. 남군하고 전쟁을 하는데 부하 장군 중에 미드 장군이 있었다. 남군이 후퇴할 때 쫓아가서 싸워야 하는데 미드 장군이 우물쭈물하다가 기회를 놓쳤다. 링컨은 미드 장군에게 비판과 비난의 편지를 썼다. 하지만 그 편지를 미드 장군에게 보내지 않았다. 그 결과 미드 장군은 내가 이런 실수를 했는데도 불구하고 대통령이 나를 용서해 주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열심히 해야지라고 생각해서 전쟁에 이겼다. 절대 상대방을 능력 있는 사람으로 바꾸고 싶다면 비판하지 말라이다.
3. 평판을 만들어주라 :사람은 자신의 평판에 맞게 행동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영조가 대신들 앞에서 사도세자를 세워놓고 비판을 했다. 사람들 보는 앞에서 공개 망신을 줬다. 그런데 만약에 영조가 대신들 다 모인 앞에 사도 세자를 세워놓고 칭찬을 했으면 어땠을까란 생각이 든다.
주변사람을 설득하는 방법
1. 상대방의 니즈를 파악하라 : 철강왕 앤드루 카네기의 이야기다. 카네기가 처제하고 이야기를 했다. 처제가 아이들이 대학에 가서 편지를 보내도 답이 없어 속상해하고 있었다. 그래서 카네기는 처제를 위해 조카에게 편지를 썼다. 그랬더니 바로 답장이 왔다. 그 방법은 이렇다. 편지 내용은 이렀다. 사랑하는 조카들아 잘 지내지? 그리고 마지막에 여기에 5 달러를 동봉해서 보낸다. 이 당시 5 달려는 큰돈이었다. 그리고 편지만 보내고 돈은 보내지 않았다. 조카들이 편지를 읽고 바로 답장이 왔다. 조카들의 니즈를 파악하여 보냈더니 바로 답장이 온 것이다. 당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그것을 먼저 파악하면 된다.
2. 사람들의 관심을 파악하라 : 루스벨트의 이야기이다. 루즈벨트 대통령이 집무를 하다가 흑인 시종이 대통령님 혹시 메추라기를 아나요?라고 물었다. 루스벨트는 알고 있다고 말했는데 시종은 한 번도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던 어느날 루즈벨트가 시종에게 전화를 했다. 집 앞에 매추라기가 많이 있으니 보라고 전화를 한 것이다. 대통령이 나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시종은 대통령을 존경하게되었다. 그리고 정원사 청소하시는 분들에게도 하나하나 관심을 가져주었다. 그래서 루즈벨트는 미국인의 사랑과 존경을 받는 대통령이 되었다.
3. 겸손하라라: 누구나 살면서 실수할 때 있다. 빠르게 사과하고 자기비판을 하면 된다. 그러면 상대방이 더 이상 화를 내지 못한다.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의 잘못을 이야기했을 때 욱하는 마음이 생긴다. 이것이 이제 상대에게 호감을 받는 방법이다.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데미안의 줄거리, 느낀 점, 작가 (0) | 2023.03.27 |
---|---|
책 총, 균, 쇠 내용 (0) | 2023.03.27 |
책 사피엔스: 인류의 통합, 과학혁명 (0) | 2023.03.26 |
책 넛지 내용과 추천하지 않는 이유 (0) | 2023.03.24 |
책 아버지의 해방일지 내용과 느낀 점 (0) | 2023.03.24 |